[Node.js] Error: bind EADDRINUSE null:80
·
Programming/Node.js
pm2의 cluster mode를 사용해서 서버를 켜던 도중 Error: bind EADDRINUSE null:80이라는 에러가 발생했다. 해당 에러의 원인은 이미 80포트를 사용중이기 때문이였다. (다른 서버가 80포트를 사용중이였기 때문) 해당 서버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pm2를 실행시켜서 해결하였다.
[Node.js] node.js에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
·
Programming/Node.js
최근 Node.js에서 많은 메모리 사용량으로 인해 서버가 터지는 일이있었다.Node.js 환경에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메모리 확인Node.js에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process.memoryUsage()해당 메서드를 실행시킨 결과를 콘솔에 찍어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온다.{ rss: 4935680, heapTotal: 1826816, heapUsed: 650472, external: 49879, arrayBuffers: 9386}해당 필드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면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도록하자. https://nodejs.org/api/process.html#processmemoryusage Process | Node...
[Typescript] typescript에서 enum을 반복하는 방법
·
Programming/Typescript
typescript 환경에서 개발하던 도중 받은 값이 enum안에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 enum을 반복해서 enum에 포함되는 값인지 확인해보자. enum 반복 아래와 같은 enum이 있다고 가정하자. enum Test { Zero = 0, One = 1, Two = 2, Three = 3 } typescript에서의 enum은 결국 javascript의 object로 변환이 된다. Object.keys와 Object.values로 값을 뽑을 수 있다. // 객체의 key를 뽑아낸 후 숫자로 형변환 한다. 그 후 문자열만 뽑는다. // keys = ['Zero','One','Two','Three'] const keys = Object.keys(Test).filter((v) => isNa..
[Node.js] Node.js에서 base64로 문자열 Encoding, Decoding 하는 방법
·
Programming/Node.js
개발중 nodejs 환경에서 타 서비스에 요청을 보내던 도중 토큰에 들어가는 값을 base64로 인코딩 해서 보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Node.js 환경에서 문자열을 base64로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환경Node.js: v16.15.0Base64 문자열 Encoding, Decoding문자열을 encoding, decoding 하기 위해서는 Buffer와 toString을 사용하면 된다.const testText = `test:test`// Base64로 인코딩const base64EncodeString = Buffer.from(testText).toString('base64');console.log(`Base64로 인코딩된 text: ${base64En..
얼은펭귄
'Programm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