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fatal: unable to auto-detect email address
·
Error
ubuntu 18.04에서 git으로 작업을 하던 도중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뜨며 오류가 발생했다. 문자 그대로 git에서 이메일과 이름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현상이였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전역적으로 이메일과 이름을 설정해주자.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t에서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에서 사용하는 유저 이름"
[Error] MongoServerError: ns not found
·
DataBase/MongoDB
몽고디비에서 테스트 DB에 있는 컬렉션을 삭제하는 도중 MongoServerError: ns not found 라는 에러가 발생했다. 해당 에러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보자. MongoServerError: ns not found 위와 같은 에러는 존재하지 않는 컬렉션에 대해서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한다. 테스트 코드상에서 이미 삭제한 컬렉션을 다시 한번 삭제하려고 해서 발생한 문제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삭제 뿐만아닌 기본적인 CRUD에 대해서도 존재하지 않는 컬렉션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한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해당 에러를 던진 코드 및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컬렉션을 생성해주면 된다.
[PM2] PM2 사용시 서버가 느려지는 문제 해결
·
Linux
문제 사항 aws EC2 인스턴스에서 t2.medium 사양으로 pm2의 cluster mode로 node.js 서버를 4개 켜서 운영 하던 도중 pm2 명령어와 서버의 응답 속도가 너무 느린 문제가 발생했다. 원인 추정 원인은 너무 다양할 수 있었다. 크게 추렸을 때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추린 후 하나하나씩 검증했다. 띄워놓은 노드 서버의 응답 속도가 느린가? 실제 로컬에서 노드 서버를 띄웠을 때의 응답 속도는 10~100ms 사이 정도 였다. 하지만 pm2 노드 서버에서 응답이 느린건 2000ms 정도 되는것도 있었는데, ec2 인스턴스가 있는 물리적 위치를 감안했을 때 실제로 말도 안되게 차이가 났다. 결론: 노드 서버의 응답 속도는 크게 느리지 않다. 서버의 메모리가 딸리..
[Error] permission denied 0.0.0.0:80
·
Error
리눅스 환경에서 nestjs로 만든 서버를 80번 포트를 사용해서 시작을 했다.Error: listen EACCES: permission denied 0.0.0.0:80 이라는 메세지가 뜨며 서버가 강제종료 되었다.해당 에러가 뜬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환경nodejs: 16.xubuntu: 18.04 원인이런 에러는 왜 나는 것일까?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1024번 미만의 TCP/IP 포트 번호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할수 없다. 그런데 나는 기본적으로 ubuntu의 계정으로 git pull을 받았기 때문에 서버 폴더와 해당 폴더의 모든 파일의 소유자가 ubuntu 였다.따라서 일반 사용자인 ubuntu로 80 포트를 열려고 하니 오류가 발생한 것이였다.  해결방법해결방법은 간단하다. 해당 폴더..
얼은펭귄
'error' 태그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