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컴퓨터 기초 - 컴퓨터의 수 체계와 데이터 표현
·
Computer Science/Computer Basic
컴퓨터의 모든 수는 0과 1로 이루어진다. (이진수) 이진수의 자리 값은 다음과 같다. 2^0 = 1 2^-1 = 0.5 2^1 = 2 2^-2 = 0.25 ... 이진 데이터 표현 이진값은 트랜지스터의 두개의 상태를 나타낸다. 비트: 기본적인 논리적/물리적 단위 (1/0 = on/off) 바이트: 비트의 8개 묶음 (니블 = ½ 바이트) 워드: 바이트의 묶음 (4 바이트가 대표적이다.) 십육진수는 이진수의 짧은 표현에 사용된다. 각각의 십육진수는 4-비트 이진 패턴과 직접 연관된다. 예: 1111 1010 1100 1110 = F A C E 정수 표현 정수는 고정된 개수의 비트로 저장된다. ( ex) 2004 는 16-비트 정수 0000 0111 1101 0100) 부호(+, -)가 있는 수는 2의 보..
[CS] 컴퓨터 기초 - 컴퓨터 구조
·
Computer Science/Computer Basic
본체 내부 컴퓨터 구조를 외부적 관점에서 보면 구성은 크게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컴퓨터 본체로 나눌수 있다. CPU (central processing unit) CPU는 본체 안의 메인보드 또는 마더보드에 존재하며, 수천만개의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진다. 컴퓨터의 모든 처리를 수행하는 곳이다. 디지털 논리 회로 논리 회로는 트랜지스터 구성의 다음 단계이며, 부울 대수의 표현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울 대수 부울 대수란 이진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기술한다. 기본 연산자는 AND, OR, NOT 3가지가 있다. 부울 대수의 값은 참(1), 거짓(0) 두 값만을 가진다. 부울 수식은 부울 연산자와 이진 값으로 이루어진다. 진리표 진리표란 부울 수식을 표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이다. 행은 가능한 모든 입력의 ..
[CS] 컴퓨터 기초 - 컴퓨터의 간단한 역사
·
Computer Science/Computer Basic
고대 고대에는 주판을 사용했다. Slide rule - 기계 장치와 부품을 사용해서 복잡한 수학문제를 해결한 최초의 시도이다. 챨즈 배비지가 1823년에 차분 엔진을 발명하였다. 장치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수행하였다. 또한 분석 엔진을 설계하였다. 이 분석 엔진은 현대 컴퓨터의 주요 컴포넌트를 포함했다. 컴퓨터 전자공학의 발전 Boolean algebra가 등장했으며, 진공관을 이용해서 컴퓨터를 구축했다. 2차 세계대전이 개발에 있어서 전환점을 제공했다. 컴퓨터 1세대 시대 1950년대부터 진공관을 사용했다. 자기 드럼과 자기 테이프에 기록했다. 데이터 카드가 입력에 사용되었으며, 라인 프린터가 등장했다.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로부터 분리되어 발전되었다. 명령어는 이진 또는 기계 코드로 작성되었..
[CS] 네트워크 모델
·
Computer Science/Network
모듈화 모듈: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상호유기적으로 통합 가능해야 한다. 계층화된 모듈 구조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장점으로는 복잡한 시스템을 간단한 시스템으로 재구성이 가능하고, 문제가 일어난 부분의 모듈만 교체가 가능하다. 데이터 전달 방식 단방향 전이중: 양쪽이 동시에 송신 가능 반이중: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나 동시에 송신이 불가능하다. 데이터 전송 시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OSI 참조 모델 각 층을 거칠 때마다 헤더가 추가된다. 물리 계층을 통해 수신 호스트로 데이터가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어 응용계층까지 전달한다. 중계 노드의 경우는 7 계층이 아닌, 네트워크 계층까지의 기능만 수행한다. 라우팅 경로배정기능이다. 헤더 정보..
얼은펭귄
'CS' 태그의 글 목록 (7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