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Roadmap] HTTP 란?
·
기타
HTTP 란?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란 (보통 웹브라우저인) 수신자 측에 의해 요청이 초기화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들은 개별적인 메시지 교환에 의해 통신한다. 보통 브라우저인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s),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s)이라고 부른다. HTTP 기반 시스템의 구성요소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요청은 하나의 개체,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전송된..
[Backend-Roadmap] 인터넷의 동작 방식
·
기타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할까? 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인터넷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것이다. 인터넷은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고 어떤 일이 있어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있는 방법을 찾는 방법이다. 조금 더 깊게 알아보자 두 개의 컴퓨터가 통신이 필요할 때, 우리는 다른 컴퓨터와 물리적으로 (보통 이더넷 케이블(랜선)) 또는 무선으로 (WiFi 나 Bluetooth) 연결되어야 한다. 모든 현대의 컴퓨터는 이런 방식으로 연결되어있다. 이런 네트워크는 두대로 제한되어 있지 않다. 원하는 만큼 연결할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가 10대만 되어도 컴퓨터당 9개의 플러그인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컴퓨터는 라우터에 연결된다. 라우터에서는 컴퓨..
[Linux] tee 명령어 사용법
·
Linux
tee 명령어 tee 명령어는 다른 명령어를 쳤을때 해당 명령어의 출력 결과를 파일과 화면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하는 명령어이다 tee [OPTIONS] [FILE] [OPTIONS] [ -a ]: 옵션을 추가할 경우 덮어쓰지 않고 지정한 파일에 추가해서 입력한다. [ -i ]: 옵션을 추가할 경우 interrupt (ctrl + c)를 무시한다 [FILE] [ File ]: 파일의 이름이며 여러개가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명령어를 쳐보자 echo "hello world" | tee test.txt 화면에 hello world 를 출력하고 test.txt 파일로 저장된다. ll | grep test.txt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해보면 파일이 있다. 해당 파일을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열어보면..
[MongoDB] 특정 필드만 업데이트 하는 방법
·
DataBase/MongoDB
문제상황 http patch메서드를 사용하는 도중 받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필드를 업데이트 해야 하는 경우가 생겼다. 받은 데이터가 null이나 undefined이면 기존 데이터 그대로 저장하고, 받은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새로운 값을 저장하는 쿼리를 만들었다 예시 Document // User document { name: 'test', age: 27, status: 'A', group: 'TEST' } mongoose를 사용한 해결 방법 JavaScript const updateUser = async (profile) =>{ // 해당 필드가 있을때 해당필드만 업데이트해주는 쿼리 const updateQuery = { $set: { // profile.name이 null또는 undefin..
얼은펭귄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