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ror] permission denied 0.0.0.0:80
·
Error
리눅스 환경에서 nestjs로 만든 서버를 80번 포트를 사용해서 시작을 했다.Error: listen EACCES: permission denied 0.0.0.0:80 이라는 메세지가 뜨며 서버가 강제종료 되었다.해당 에러가 뜬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환경nodejs: 16.xubuntu: 18.04 원인이런 에러는 왜 나는 것일까?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1024번 미만의 TCP/IP 포트 번호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할수 없다. 그런데 나는 기본적으로 ubuntu의 계정으로 git pull을 받았기 때문에 서버 폴더와 해당 폴더의 모든 파일의 소유자가 ubuntu 였다.따라서 일반 사용자인 ubuntu로 80 포트를 열려고 하니 오류가 발생한 것이였다.  해결방법해결방법은 간단하다. 해당 폴더..
[Mongoose] mongoose 사용시 save가 느린 현상 해결 방법
·
DataBase/MongoDB
mongoose를 사용해서 subDocument의 크기가 큰 데이터를 mongodb에 넣을때 너무 느린 현상이 발생했다. 해당 현상에 대한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발생상황 약 2MB의 데이터를 mongoose에 넣는데 너무 느린 현상이 발생했다. 해당 document의 구조는 아래 코드와 같았다. const TestDataSchema = new mongoose.Schema({ // 약 40개의 raw ... },{ _id: false, } ); const testSchema = new mongoose.Schema( { testUser: { type: String, required: true, index: true }, testUUID: { type: String, required: true, in..
[Node.js] node.js에서 object를 s3에 올리는 방법
·
Programming/Node.js
작업 중 node.js 환경에서 요청으로 받은 object 자체를 json으로 변환해서 s3에 올려야 하는 일이 생겼다. 해당 글에서는 node.js에서 s3로 업로드 하는 방법과 IAM 설정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환경 node.js: v16.15.0 aws-sdk: 2.1166.0 S3 버킷 생성 S3 버킷 생성에 대해서는 예전에 다루었기 때문에 스킵한다. 만약 S3 버킷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라면 아래 글을 참고해서 S3 버킷을 생성하자. [AWS] S3 버킷 생성하기 이 글에서는 AWS 콘솔에서 S3 버킷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S3 버킷 생성 1. AWS 콘솔에서 S3 접속후 버킷 만들기 클릭 2. 버킷 생성 버킷 이름 입력 AWS 리전 선택 퍼블릭 엑세스 허용 (필요 systorage..
[AWS] S3 버킷 생성하기
·
AWS
이 글에서는 AWS 콘솔에서 S3 버킷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S3 버킷 생성 1. AWS 콘솔에서 S3 접속후 버킷 만들기 클릭 2. 버킷 생성 버킷 이름 입력 AWS 리전 선택 퍼블릭 엑세스 허용 (필요에 따라) 설정 후 버킷 만들기 3. 생성된 버킷 확인 이렇게 버킷 생성이 완료 되었다. 다음 글에서는 node.js에서 S3에 업로드 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얼은펭귄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