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 Node.js를 활용한 티스토리 글 작성 시 Github에 commit 하는 방법
·
기타
티스토리 블로그에 에러 처리 했던 방법, 문제 해결 했던 방법 등을 정리하다보니 github 잔디에 소홀해졌다. .rss 파일을 이용해서 티스토리에 글을 작성할 때마다 github에 commit이 되게해서 잔디를 채워보자. (하루에 글을 하나씩 쓰자...) Tistory RSS 설정 먼저 블로그에 RSS가 공개 되어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만약 RSS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RSS부터 설정하자. 1. 블로그설정 - 관리 - 블로그로 들어간다. 2.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고 변경사항을 저장한다. (공개될 RSS는 그냥 50개로 하자.) 3. 본인 블로그 주소/rss 로 접속해서 확인한다. ex) https://systorage.tistory.com/rss GitAction을 통한 자동화 사실 글 제목은 글 쓸..
[Git] git stash clear 복구하기
·
기타
작업중이던 코드를 git stash 를 하고 실수로 git stash clear해서 stash들을 모두 삭제했다. 해당 stash를 찾고 복구해보자. git stash 복구 1. 실수로 clear를 입력한 위치(프로젝트 파일 위치)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 fsck --no-reflog | awk '/dangling commit/ {print $3}' | xargs -L 1 git --no-pager show -s --format="%ci %H" | sort 2. 위의 명령어를 통해 stash의 해시값과 저장 시간을 알 수 있다. (맨 아래부터 최신 순서이다.) 3. 시간을 보고 내가 지운 stash를 확인한다. (가장 최근에 지웠다면 맨 아래 값이다.) 4.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stash를..
[Git] Git Branch 상태를 원격으로 되돌리는 방법
·
기타
ubuntu에서 작업을 하던 도중 테스트를 위해 일시적으로 코드를 수정하였다. 깜빡하고 git pull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타났다. First, rewinding head to replay your work on top of it... 해당 작업 내용을 전부 날리고 원격 branch의 상태로 전부 되돌려야 하는 상황이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내가 작업한 내용을 전부 버리고 원격 branch와 동기화 할 수 있다. git fetch origin; git reset --hard / ex) git fetch origin; git reset --hard origin/main
[MacOS] MacOS에서 파일 시스템 확인
·
기타
MacOS 환경에서 하드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을 확인해보자. 파일 시스템 확인 1. Finder를 열고 좌측 상단의 환경설정을 클릭한다. 2. 환경설정에서 일반 - 데스크탑에서 항목 보기 - 하드 디스크를 체크해준다. 3. 바탕화면에 생성된 하드디스크의 정보 가져오기를 누른다. 4. 나온 정보의 포맷을 확인한다. 여기서 써있는 포맷: APFS가 현재 사용중인 하드 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이다.
얼은펭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