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ReplicaSet
·
Kubernetes
ReplicaSet은 Pod를 매니징한다. 예를 들어 nginx pod가 3개 있어야 한다고 하면 3개의 nginx pod를 유지한다. replicaSet의 restartPolicy는 always이며 바꿀수 없다. 예를들어 아래 그림에서 노드2가 갑자기 죽었을때 pod의 개수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노드에 pod를 띄운다. 직접적으로 생성하는건 프로덕션 레벨에서는 권장되지 않으며 Deployment가 ReplicaSet을 관리한다.이 글에서는 무엇을 관리해야하는지 명확히 하기 위해 metadata.labels를 사용한다ReplicaSet 생성주요 레퍼런스는 아래 링크에서 참고할 수 있다.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rnetes-api/workload-resou..
[Kubernetes] Pod 기초 - 2
·
Kubernetes
Pod args - Exec Form args 를 사용하면 docker container에 인수를 전달할 수 있다. 06-pod-args.yaml 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name: my-podspec: restartPolicy: Never containers: - name: ubuntu image: ubuntu# 이 방법도 가능하고 아래 방법도 가능하다# args: ["date"] args: - "date" Pod container logs kubectl logs [파드 이름]ex) kubectl logs my-pod Pod args - shell formdocker 내부에 bash로 진입해서 shell 명령어를 ..
[Kubernetes] Pod 기초 - 1
·
Kubernetes
워크로드는 K8S 클러스트 위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파드는 워크로드를 생성하는 기본 구성 요소이다. 배포가능한 가장 작은 단위이다. 파드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실행할수 있다.     오직 하나의 컨테이너만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이고     나머지 컨테이너는 도우미이다. 파드는 VM을 제공하고 컨테이너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간단한 파드 생성K8S 요소 yaml format은 아래와 같다.apiVersion: [api Version]kind: [K8S의 워크로드 타입]metadata: [리소스 이름, 추가 레이블]spec: [워크로드 타입에 따라서 달라진다. 공식문서를 참고하자]참고할 공식문서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rnetes-api..
[Kubernetes] Cluster 학습
·
Kubernetes
클러스터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물리적 or 가상 머신의 집합이며, 클러스터는 마스터와 노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프로덕션 환경의 경우 하나 이상의 마스터가 존재한다. Master마스터의 컴포넌트는 api-server, stcd, controller-manager, scheduler로 구성된다. api-server: 클라이언트가 클러스터와 대화하고 워크로드를 생성할 수 있는 API-서버 etcd (et-c-d): 클러스터 데이터를 저장할 분산 키 값 저장소 controller-manager: 워크로드/노드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 scheduler: 워크로드 스케줄러  Node노드의 컴포넌트는 kubelet, container runtime (docker), kube-proxy 로 구성된다. ..
프로토콜 버퍼(protobuf)란?
·
면접
1. 소개현대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직렬화의 중요성오늘날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다양한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확산과 모바일 및 IoT 기기의 증가로 인해 네트워크 상에서 주고받는 데이터의 양과 빈도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기존 직렬화 방식의 한계전통적으로 데이터 교환에는 JSON이나 XML과 같은 텍스트 기반의 포맷이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포맷은 사람이 읽기 쉽고 이해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 크기가 크고 파싱 속도가 느리며, 데이터 타입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프로토콜 버퍼의 등장 배경구글은 내부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보다 빠르..
얼은펭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