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ubuntu에서 Swap 메모리를 활용한 메모리 부족 문제 해결
·
Linux
모델 변환 작업 진행중 서버 메모리가 부족해서 프로세스가 강제로 죽는 현상이 생겼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했던 작업 및 공부 정리입니다.Linux 서버나 시스템을 사용하다 보면, 메모리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성능 저하를 방지하거나 시스템이 멈추지 않도록 스왑(Swap) 메모리를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인 해결 방법입니다.이 글에서는 Swap 메모리의 개념과 설정 방법을 소개하고, 부족한 메모리를 관리하는 최적의 방안을 설명합니다.Swap 메모리란?스왑 메모리는 물리적인 RAM이 부족할 때 디스크 공간을 일시적인 가상 메모리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RAM에서 스왑 공간으로 옮기고 필요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데 메모리를 할당합니..
[CS] 운영체제 - 가상 메모리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가상 메모리의 기법은 전적으로 운영체제가 관리하고 있다. Demand Paging 실제로 필요할 때 page를 메모리에 올리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하면 I/O 양의 감소, Memory의 사용량 감소, 빠른 응답 시간, 더 많은 사용자 수용 등의 효과를 얻는다. Valid / Invaild bit를 사용한다. Invalid는 사용되지 않는 주소 영역인 경우, 페이지가 물리적 메모리에 없는 경우를 말한다. 처음에는 모든 page entry가 invalid로 초기화되고 주소 변환 시에 invalid bit이 설정되어 있다면 page fault라는 현상이 발생한다. Page fault invalid page를 접근하면 MMU가 trap을 발생시킨다. (page fault trap 이라고 불린다.) kernel ..
[CS] 운영체제 - 메모리 관리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메모리는 주소를 통해서 접근하는 매체이다. 크게 논리적인 주소, 물리적인 주소로 나뉜다. Logical address 와 Physical Address Logical address(논리 주소)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이며,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부터 시작한다. CPU가 보는 주소는 논리적인 주소이다. Physical address(물리 주소) 메모리에 실제 올라가는 위치를 말한다. 주소 바인딩 주소 바인딩이란 주소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Compile time binding 물리적 메모리 주소가 컴파일 시 알려진다. 시작 위치 변경시 재컴파일한다. 컴파일러는 절대 코드를 생성한다. Local time bining Loader의 책임하의 물리적 메모리 주소를 부여한다. 컴파일러가 재배치..
얼은펭귄
'메모리'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