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NS와 DNS의 동작 원리

DNS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Domain Name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한다.

Domain Name 이란?

  • 인터넷 상에서 다른 단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고유의 IP를 알아야한다.
    • ex) 192.168.10.100
  • 하지만 특정 서버에 IP를 매칭해서 하나씩 외우는 것은 불편하다. 여기서 나온것이 도메인 네임이다.
  • 도메인 네임(Domain name)
    •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킨다.
    •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한다.

Domain Name의 구조

Domain Name의 구조

DNS란?

  •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상의 도메인 이름을 실제로 접속 가능한 주소로 식별해서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 예를 들어 'http://www.example.com' 라는 URL을 웹 브라우저에서 입력하면 인터넷상에서 'www.example.com'에 해당하는 실제 IP 주소를 DNS 서비스가 전달하고, 시스템은 전달된 IP 주소로 원하는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 DNS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체 DNS 서버를 손쉽게 구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한다.

DNS를 사용하는 이유

  • 예를 들어 네이버의 IP주소가 111.111.111.11이라고 하자.
  • DNS가 없다면 주소창에 111.111.111.11이라고 쳐서 네이버에 들어가야 한다.
  • 하지만 DNS를 사용하면 주소창의 www.naver.com을 치고 들어갈 수있다.

DNS의 동작 원리

  1. 웹 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Local DNS에게 "www.naver.com"이라는 hostname에 대한 IP 주소를 물어본 후 Local DNS에 없으면 다른 DNS name 서버 정보를 받는다.
  2. Root DNS 서버에 "www.naver.com"을 질의한다.
  3. Root DNS 서버로 부터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TLD (Top-Level Domain) 이름 서버 정보를 전달 받는다.
  4. TLD에 "www.naver.com"을 질의한다.
  5. TLD에서 "name.com" 관리하는 DNS 정보를 전달한다.
  6. "naver.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 "www.naver.com" 호스트네임에 대한 IP 주소 질의한다.
  7. Local DNS 서버에게 "www.naver.com에 대한 IP 주소는 222.122.195.6이다."라고 응답한다.
  8. Local DNS는 www.naver.com에 대한 IP 주소를 캐싱을 하고 IP 주소 정보를 전달한다.
반응형
얼은펭귄